본 글에서는 초성 해석기 사이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성 해석기 사이트 바로가기
생각보다 요즘 상메(상태메세지)를 초성(자음)으로만 적는 분들이 많습니다. 스스로의 심리적 상태나 상황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으면서 자신에게 관심이 있는 가까운 지인이나 애인에게는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방식으로 주로 젊은 학생들 사이에서 많이 쓰는 방식인데요, 가끔 이런 초성 상태메세지를 해석하고자 해도 사람의 머리로는 도저히 알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보통 주변 지인에게 물어보면서 집단지성을 활용하기도 하는데요, 문제는 만약 내 애인이 나와 다툰 후 상태메세지를 바꿔둔 것이라면, 집단지성을 활용하기 위해 지인들에게 애인과 싸웠다는 것을 공표해야한다는 사실입니다. 작은 다툼이라면 상관없겠지만 만약 생각보다 꽤 심각한 다툼이 있었다면 친구들에게 뜻을 유추해보자고 선뜻 도움을 부탁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혼자 끙끙 앓지 말고 초성 해석기 사이트를 활용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래에서 소개드리는 두 사이트는 컴퓨터에 따로 설치가 필요없는 초성 해석기로 웹 상에서 간단하고 빠르게 자음만 입력해서 그 뜻을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자음
초성 해석을 위한 사이트 답게, '자음'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입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한데,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신 뒤, 해석이 필요한 초성을 입력 후 '검색'만 해주시면 바로 사이트가 알아서 초성을 토대로 매칭되는 단어나 문장을 검색해서 보여줍니다.
사이트 주소: jaum.kr
https://jaum.kr
jaum.kr
예를 들어 영화 및 애니메이션 제목인 공각기동대를 염두에 두고 아래와 같이 'ㄱㄱㄱㄷㄷ'라고 검색하면 찾고자 했던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음의 특징은 초성 검색시 카테고리를 나누어서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인데요, 큰 카테고리는 영화, 음악, 동식물, 사전, 게임, 인물, 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색 결과도 각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ILAB 초성체 번역기
자음과 유사한 ILAB 초성체 번역기 사이트입니다. 마찬가지로 사이트에 접속한 뒤 해석이 필요한 초성을 입력하고 '해석'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사이트가 알아서 알고리즘을 활용해 입력된 초성을 기반으로 정답을 유추해줍니다.
사이트 주소: lab.lab2min.pe.kr
ILAB - 초성체 해석기
초성체 번역기 (Ver.2.1)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Kiwi를 개량하여 초성체를 해석하는 Kneser Ney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이전 모델에 비해 문맥이나 문장을 예측하는데 강력한 특징을 보여줍니다. 이
lab.bab2min.pe.kr
초성체 번역기를 통해 'ㅇㄱ ㄴㅁ ㅁㄹㄷㄱㅇ?'를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해석을 누르면 아래에 추천 정답을 보여주는데요, 만약 표시된 후보에서 정답이 없는 것 같다면 아래의 후보 더보기 버튼을 눌러 다른 추천 정답을 추가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위의 자음 사이트와는 달리 문장형 검색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단어형 검색을 할 때는 카테고리를 나눠 검색하거나 결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되려 방대한 자료가 검색되기도 합니다.
두 사이트를 적절히 활용하면 평소 궁금했던 애인의 상메를 유추해보거나, 지인들과의 모임에서 필요한 퀴즈를 만드는 등 여러방면에서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출처: https://comojeong.com/초성-해석기-사이트-소개/
초성 해석기 자음해석 무료 사이트 2 바로가기 - 꼬모정
단체 여행이나 행사 또는 예능프로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것이 바로 초성퀴즈입니다. 특정 단어의 초성(자음)만 작성한 뒤 어떤 문장이나 단어인지 맞추는 것인데요, 이를 쉽게 맞출 수 있도록
comojeong.com